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46

인간중심치료의 발전과정 비지시적 치료 Rogers는 로체스터의 아동보호 상담소에서 일하면서 정신분석을 비롯한 기존의 치료법들이 임상 현장에 적절치 않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내담자가 무엇 때문에 상처를 입었으며 어떤 문제가 중요하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내담자 자신이라는 것을 깨달으면서 나름의 치료 방법을 모색하였다. 1940년에 오하이오 주립대학으로 옮겨온 Rogers는 비지시적 치료를 발전시키게 된다. 그는 치료과정에서 내담자가 스스로 책임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로서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느낌과 내면세계를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허용하면서 내담자가 자기 삶에 대한 책임 의식을 발달시키도록 돕는다. 내담자의 감정과 생각을 반영해.. 2022. 10. 4.
인간중심치료 - Rogers의 생애 Rogers의 성장 과정과 교육 배경 Carl Rogers는 1902년 미국 시카고 근교의 오크 파크에서 기독교 가정의 5남 1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모두 미국의 중서부 출신이었으며 근본주의적 기독교를 신봉했다. 자녀들에 대하여 많은 애정을 기울였으나 기독교 신앙과 근면성을 강조하며 철저한 통제를 가했다. Rogers의 부모는 가족 모두가 하느님으로부터 선택받은 자로서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해야 하며 술 마시고 춤추고 카드놀이 하는 것과 같은 어떠한 사교적 생활도 허용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이웃을 멀리하는 대신 빈틈없이 짜인 가정생활과 생산적인 일을 하도록 독려했다. 이러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Rogers는 어린 시절에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서 가족들은 그를 지나치게 예민한 .. 2022. 10. 4.
인간중심치료의 개요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는 칼 로저스(Carl Rogers, 1902~1987)에 의해서 발전된 인본주의적 심리치료로서 긍정적인 인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Rogers(1942, 1951, 1961)에 따르면 인간은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내면적 동기와 잠재 능력을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 따라서 치료자가 내담자를 조정하여 변화시키려 하기보다 충분히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진솔한 분위기를 제공하면 내담자는 스스로 긍정적인 변화를 모색하며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Rogers의 주장은 정신분석과 행동치료가 지배하던 1960년대의 심리치료 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Rogers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모든 잠재력을 발현하여 좀 더 가치 있는 존재로 성장하려는 선천적인 성향, .. 2022. 10. 4.
인지치료 - 치료기법 2 행동 실험 행동실험(behavioral experiment)은 내담자가 지니는 사고의 타당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는 기법이다. 내담자는 자기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반응을 왜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담자가 실제로 그러한 행동을 해보고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일종의 실험을 해보는 것이다. 예컨대 대인 불안이 심하고 자기주장을 잘하지 못하는 한 여자 내담자는 옷 가게에서 옷을 입어본 후 사지 않고 나오면 판매원이 자신에게 심하게 욕할 것을 두려워하여 마음에 들지도 않는 옷을 사는 행동을 하곤 한다. 이 내담자가 과연 판매원이 심한 욕설을 퍼붓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옷 가게에서 옷을 입어본 후에 그냥 사지 않고 나오는 행동 실험을 해보게 하는 것이다. 특정한 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