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 관심사

직원들의 업무 능률을 올리는 법 - 목표 설정 심리학, 이케아 효과

by 충북 청주 가맹거래사 2022. 11. 10.

모든 심리학자들이 지금까지도 고심하고 어려워하는 문제는 바로 직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동기부여를 통해 일의 능률을 올리는 일입니다. 실제로 저도 일이 지치거나 몸이 피곤할 때 유튜브를 통해 동기부여 영상을 자주 틀어서 보곤 합니다. 오전에 동기부여 영상을 보고 일터에 오면 활기차고 에너지 넘치게 일을 하다가도 그 효과는 대개 오래가지 못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영상들은 보는 것으로 재미와 만족감을 줄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 그리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합니다.

 

전국에 계신 모든 사장님들과 기업의 오너, 기업의 관리자들은 어떻게 하면 직원들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동기부여를 해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합니다. 실제로 많은 산업, 조직심리학 분야의 심리학자들은 기업과 협업하여 직원들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심해 왔습니다. 오늘은 동기/목표 설정 심리학, 이케아 효과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여 일의 능률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심리학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개리 래섬과 개리 유클의 동기/목표 설정 심리 실험

 

- 이 실험은 동기/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개리 래섬(Gary P, Latham)과 개리 유클(Gary A.Yukl)에 의해 행해진 실험입니다.

- 개리 래섬과 개리 유클은 1975년에 나무를 베는 나무꾼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실험을 했습니다. 두 사람은 집단을 A,B,C로 나누어 A 집단에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스로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세우라고 했습니다. B 집단은 스스로 목표를 세우지 않고 감독관이 목표를 세웠습니다. C 집단은 아무런 목표 설정 없이 단지 '최선을 다하라'고만 이야기했습니다. 그 결과 A 집단이 나무를 가장 많이 베었고, 그다음으로 B 집단이 나무를 많이 베었으며 C 집단은 별다른 생산성의 향상이 없었습니다. 

 

-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목표 설정'이 얼마나 직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심리학자들은 목표 설정이 다양한 상황에서 큰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 있고, 일을 꼭 완수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도구로써 목표 설정을 늘 권유하고 있습니다.

 

 

 

 

 

2. 애리얼리 교수의 종이접기 심리 실험

 

- 이 실험은 노력/애정과 관련하여 이케아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댄 애리얼리(Dan Ariely)에 의해 행해진 실험입니다.

- 이케아 효과는 자신이 직접 만든 물건에 더 큰 애정이 따라온다는 이론입니다.

 

- 애리얼리 교수는 종이접기를 하기 위해 그룹을 집단 A와 집단 B로 나누었습니다. 집단 A에 속한 사람들은 종이로 학이나 개구리 등에 대하여 종이접기를 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자기 작품에 대하여 값을 스스로 매길 수 있었고, 무작위로 추출한 금액보다 금액이 크면 그 금액을 지불하고 자신의 작품을 가져가도록 했습니다. 집단 B에 속한 사람들은 집단 A에 속한 사람들이 만든 작품에만 값을 매길 수 있게 했습니다. 그 결과 A 집단은 가격을 평균 23센트로 책정한 반면, B 집단은 가격을 평균 5센트의 가격으로 책정했습니다.

 

-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사람들이 스스로 노력을 통해 어떤 것을 성취하는 것에 대해 얼마나 몰두할 수 있고, 그 결과를 가치 있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직접 만들었다는 이유만으로 사람들이 그 물건을 좋아하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볼 수 있고, 이는 동기부여를 하는 것에 있어 스스로 일을 완수하고 성취감을 얻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기본적으로 주는 월급 외에 성과급, 보너스, 수당 등 금전적인 것으로 보상 해주면서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의도하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직원들은 금전적인 것으로만 보상을 해준다고 업무의 능률이 오르지도 않을뿐더러,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로 댄 애리얼리 교수에 의하면 진짜 동기부여는 조직 내에서 느끼는 팀워크,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 동료와의 사랑을 통해 진짜 동기부여를 느낀다고 합니다. 또한 다니엘 핑크의 저서 'Drive'를 보면 자율성, 전문성, 목적 세 가지가 동기부여를 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나와 있기도 합니다.

 

모든 직원과 함께 하고 계시는 사장님들, 오너분들 그리고 기업 관리자분들 모두 상기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좀 더 완벽한 팀워크를 통해 직원들과 일의 능률도 올리고 함께 성장해 가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만 글을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