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46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정신병리 이론 - 비합리적 사고 비합리적 사고 심리적 장애의 ABC 모델에 따르면, 역기능적인 부정적 감정이 일어날 때 다양한 비합리적 신념과 사고가 영향을 미친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핵심 비합리적 신념이다. 이러한 핵심 비합리적 신념은 다음과 같은 네 유형의 사고를 통해서 단계적으로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게 된다. 그 첫째는 절대적인 강요와 당위로서 앞에서 설명한 당위적 요구를 의미한다. Ellis는 이러한 당위적 요구를 모든 정서적 문제의 근원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스스로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해서 비현실적인 과도한 기대를 만들어서 그것을 일방적으로 부과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지키도록 요구하고 강요한다. 이것은 마치 스스로 다양한 계율을 만들어 자신뿐 아니라 타인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폭군의 행위.. 2022. 9. 30.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정신병리 이론 - 비합리적 신념 비합리적 신념 Ellis(1994)의 공헌은 인간을 부적응으로 몰아가는 비합리적 신념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REBT에 따르면 인간이 심리적 부적응과 장애를 나타내는 주요한 원인은 비합리적 신념이다. 비합리적 신념은 자신,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와 요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합리적 신념은 '반드시 ~해야 한다.'라는 절대적이고 완벽주의적인 당위적 요구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에 따르면 비합리적 신념은 자신, 타인, 세상에 대한 당위적 사고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자신에 대한 당위적 요구로서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현실적으로 충족되기 어려운 과도한 기대와 요구를 부과하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는 "나는 반드시 탁월하게 일을 수행해내야 한다." "다른.. 2022. 9. 30.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 ABC 모델 ABC 모델 인간은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양면성을 지닌 존재이다. 인간은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도 있고 비합리적인 왜곡된 사고를 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모두 지니고 태어난다.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며 자신을 성장시키고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려는 경향성을 지니지만, 참을성 없이 충동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을 파괴하고 실수를 반복하며 다른 사람과 갈등적인 관계를 맺는 경향성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생득적인 생물학적 요인과 후천적인 사회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비합리적인 사고의 경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건강하지 못한 부정적 정서와 부적응을 겪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즉 인간의 비합리성은 개인을 정서적 고통과 혼란에 빠지게 하는 취약성의 바탕이 되며, 비합리.. 2022. 9. 29. 합리적정서행동치료 - REBT의 철학배경과 기본가정 REBT의 철학적 배경 REBT의 많은 부분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Ellis는 자신의 치료이론이 폭넓은 독서를 통해 접한 철학적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학파 철학자들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노예 출신의 절름발이 철학자인 Epictetus가 말한 "사람들은 사건 자체가 아니라 사건에 대한 생각에 따라서 고통을 받는다."는 문구를 자주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은 사고와 신념이라는 인지적 요인이 인간의 불행과 부적응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이라는 REBT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Socrates의 문답법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치료기법이 되었다. REBT 치료자들은 내담자에게 질문을 던짐으로써 비합리적 신념의 지지증거.. 2022. 9. 29. 이전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 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