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70 정신분석 치료-2 정신분석의 발전 과정 정신분석의 발전과정은 크게 제1기 심리적 외상론의 시기, 제2기 추동심리학의 시기, 제3기 자아심리학의 시기, 제4기 프로이트 사후 정신분석의 발전 이렇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제 1기: 심리적 외상론의 시기 프로이트는 Brucke 교수의 실험실에서 일하던 14세 연상인 신경과 의사 Breuer를 만나 Anna O의 사례를 접하면서 히스테리 증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9세가 되던 1885년에 그는 비엔나 대학교의 신경병리학의 강사가 되었으며 같은 해에 4개월 동안 프랑스 파리 대학의 신경과 교수인 Charcot로부터 최면 치료를 연수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때 최면을 통해서 환자의 손과 발이 마비되거나 마비가 풀리는 것을 직접 목격하면서 충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 2022. 7. 29. 정신분석 치료-1 정신분석 치료의 개요 정신분석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서 창시된 심층심리학의 이론체계이자 심리치료 방법이다. 프로이트는 정신장애가 심리적 원인, 즉 무의식의 갈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심리적 방법을 제시한 최초의 사람이다. 프로이트는 자기기만과 위선의 장막을 걷어내고 정직하게 인간의 마음을 깊이 직시하고자 했다. 인간의 행동 대부분이 무의식에 의해서 결정되며 무의식의 주된 내용은 성적인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인간과의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마음은 성적인 본능적 충동으로 이루어진 원초아, 본능적 충동과 환경적 요구를 중재하는 자아, 그리고 사회의 도덕적 가치관을 반영하는 초자아로 구성되며 이러한 심리.. 2022. 7. 28. 심리치료와 상담의 기본적 이해-4 3) 심리치료자의 윤리 심리치료자와 상담자는 내담자와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일정액의 치료비를 받으며 매우 사적인 경험을 취급하기 때문에 다양한 윤리적인 문제에 빠져들 수 있다. 치료자는 자신의 치료능력을 과장하여 무책임한 태도로 치료에 임하거나 과도한 치료비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고, 자신의 욕구충족을 위해서 내담자를 이용하거나 내담자와 부적절한 성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심리치료자와 상담 전문가 자격을 관리하는 단체나 학회는 엄격한 자격심사과정을 통해서 내담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에게만 자격증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 활동에 대한 윤리적 감독을 하게 된다. 심리치료자와 상담자는 내담자의 안녕과 복지를 최우선 가치로 두어야 한다. 심리치료자와 상담자가.. 2022. 7. 19. 심리치료와 상담의 기본적 이해-3 * 심리치료자 심리치료자 또는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실제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말한다. 심리치료자는 내담자가 지닌 심리적 문제나 장애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심리치료의 원리에 대한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전문적 기술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전문직 활동으로서의 심리치료와 심리 상담은 이러한 전문적 교육과 훈련을 받고 국가기관이나 공신력 있는 단체로부터 자격을 인정받은 전문가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다. 1) 심리치료자의 동기와 자질 심리치료자는 자신이 치료자가 되고자 하는 동기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심리치료자는 어려움을 지닌 타인을 돕고자 하는 이타적인 동기에서 심리치.. 2022. 7. 15. 이전 1 ··· 214 215 216 217 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