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70 아들러 심리학-주요개념과 성격이론 1 1) 개인 심리학의 기본 가정 아들러에 따르면 인간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나름대로의 인생 목표를 추구하는 창조적인 존재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결정론적이고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반면 아들러는 목적론적이고 사회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에게 있어서 인간은 생물학적 성적 본능에 의해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추구하는 존재였다. 인간은 유전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자신의 모든 경험을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창조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개인심리학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중요한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그 첫째는 인간이 목표지향적인 존재라는 점이다. 인간의 모든 행동은 목적성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과거에 의해 끌려.. 2022. 8. 13. 아들러의 생애와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 1) 아들러의 성장 과정과 교육 배경 아들러는 1870년 2월 7일 비엔나의 유복한 유태인 가정에서 4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아들러는 생의 초기부터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겪은 병약한 아이였다. 골연화증으로 네 살까지 걷지 못했으며 다섯 살 때에는 폐렴에 걸려 죽을지 모른다는 진단을 받기도 했다. 그는 이러한 질병 경험으로부터 커다란 충격을 받았으며 이는 나중에 그가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질병과 더불어 동생 Rudolf의 죽음은 의사가 되고자 하는 그의 목표를 강화시켰다. 아들러는 어린 시절에 병치레를 많이 했기 때문에 어머니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동생이 태어나면서 어머니의 관심을 빼앗기게 되어 어머니에 대한 실망감으로 친밀한 관계를 지속하지 못한 듯하다. 아버.. 2022. 8. 12. 분석심리학-치료이론 1) 치료의 목표와 원리 분석적 심리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개성화와 성격의 통합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치료 목표는 개인의 발달단계와 특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느 내담자라 하더라도 치료의 목표가 미리 이론적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내담자의 경험 그리고 그의 성격과 삶의 의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인생의 전반기를 살아가는 내담자의 치료는 현실 적응을 위한 구체적 목표를 성취하는 데 초점이 모아지는 반면 인생의 후반기를 살아가는 내담자의 치료 목표는 자기의 실현에 초점이 모아진다. 인생의 오전을 살아가는 젊은 내담자의 경우에는 직업에 적응하고 가정을 돌보는 정상적인 적응적 삶을 위해서 자아를 강화하는 일에 주력하는 반면 인생의 오후를 살아가는 중년기 이후의 내담자에게는 개인적인 삶의 의.. 2022. 8. 11. 분석심리학-정신병리 이론 융은 정신병리 현상을 건강한 사람이 지니는 심리적 속성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정상과 이상 그리고 건강과 장애에 대한 절대적인 구분은 없으며 증상을 확인하여 기술하고 이름을 붙이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사실상 분석심리학에는 정신병리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 개개인에 대한 이해를 중요시하며 '병적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이 있을 뿐이다.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개인이 병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자신의 무의식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표출되어 올라오는 무의식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은 마음의 병을 얻게 된다. 1) 신경증 신경증은 그 증상의 의미를 아직 발견하지 못한 마음의 고통이다. 융은 자.. 2022. 8. 7. 이전 1 ··· 210 211 212 213 214 215 216 ··· 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