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치료는 예술인가 과학인가? 심리치료는 삶에 대한 인문학적인 이해 위에서 펼쳐지는 오묘하고 깊이 있는 예술적 작업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인간에 대한 자연과학적 이해 위에서 진행되는 체계적이고 정밀한 과학적 작업이어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한 견해에 따라 심리치료자의 이론적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
인간의 정신세계는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며 다층적이어서 명료하게 설명하기가 어렵다. 심리치료자는 부적응 문제의 치료를 위해서 찾아온 내담자를 도와야 한다. 이때 치료자가 당면하는 기본적 과제는 내담자의 부적응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부적응 문제를 생성하고 지속시키는 심리적 요인과 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야 치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내담자의 문제를 어떤 관점에서 이해할 것인가?
정신장애를 이해하고 치료하는 입장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다소 주관적이고 추상적이더라도 내담자의 부적응 문제를 그의 인생과 정신세계 전체의 맥락 속에서 폭넓게 이해하고 개입하려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다소 설명범위가 좁더라도 내담자의 부적응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이해하고 치료하려는 입장이다.
일반적으로 정신역동 치료자들이 전자의 입장을 취하는 반면, 행동치료자 들은 후자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정신역동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과거 경험을 포함한 인생 전체뿐만 아니라 무의식의 정신세계를 고려하여 내담자 문제를 이해하고 치료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들의 설명개념은 추상적이고 모호할 뿐만 아니라 치료과정도 비체계적이고 장기적이며 치료자의 주관성과 개성이 개입되는 예술적 요소를 지니게 된다.
반면에 행동치료자들은 심리치료가 실증적인 연구 결과에 근거한 과학적 토대 위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다. 이들은 비록 설명범위가 좁더라도 내담자의 부적응 문제를 객관적이고 명료한 개념으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치료 과정도 치료 효과가 입증된 구체적인 기법을 통해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진행되는 과학적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비유하자면 행동치료자들은 엉성한 골조물로 구성된 커다란 집을 짓기보다는 견고한 벽들을 하나씩 차근차근 쌓아가는 집짓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행동 치료는 탁월한 창시자 한 사람의 경홤과 사유에 근거하기보다 많은 연구자와 치료자의 노력에 의한 집단 지성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1) 행동치료의 기본가정
행동 치료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학문적 성과에 근거하고 있는 심리 치료이다. 행동주의는 심리학을 자연과학과 같이 엄밀한 과학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신념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심리학은 정신분석 이론과 같이 개인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호한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지양하고 객관적으로 관찰되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만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행동주의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된 것이다. 이러한 행동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두고 있는 행동치료는 인간 행동과 심리 치료에 대한 몇 가지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첫째, 개인의 특성은 관찰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분석되어 이해될 수 있다. 얼핏 보면 복잡해 보이는 인간의 삶도 상황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행동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성격은 내면적 특성에 의해 규정되기보다 개인이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독특한 행동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내담자의 부적응 문제도 관찰 가능한 문제 행동의 집합체로 분석되어 이해될 수 있다.
둘째, 인간이 나타내는 대부분의 행동을 후천적으로 학습된 것이다. 인간은 "빈 서판"과 같은 존재로서 잠재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태어날 뿐 선천적으로 결정된 행동 패턴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행동 패턴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후천적 경험을 통해 학습된 것이다. 부적응적인 문제행동 역시 잘못된 후천적 학습에 의해 습득된 것이다.
셋째, 행동치료의 주된 목표는 부적응적인 문제 행동을 제거하거나 긍정적인 행동을 학습함으로써 내담자의 적응을 돕는 것이다. 행동치료는 내담자의 과거 경험이나 무의식과 같은 내면적 요소의 변화보다 현재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행동 치료자에 따르면 내담자를 고통스럽게 하고 부적응으로 몰아가는 문제 행동을 제거하여 재발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긍정적인 행동을 습득시켜 내담자의 적응을 개선할 수 있다면 충분히 성공적인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즉 무의식적인 역동의 분석과 통찰 없이도 내담자의 문제 행동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리치료는 과학적 원리와 방법에 의해서 시행되어야 한다. 심리 치료는 치료자의 개인적인 견해와 경험에 근거하기보다 과학적으로 밝혀진 원리에 의해서 내담자 문제를 이해하고 실증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치료 기법에 의해 시행되어야 한다. 심리 치료가 미신적이거나 신비주의적인 다양한 시술 행위와 구별되는 점은 과학적 원리와 방법에 근거한다는 점이다.
'관심 있는 주제 (IT, 심리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치료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3 (0) | 2022.09.23 |
---|---|
행동치료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2 (0) | 2022.09.23 |
행동치료의 주요인물 (0) | 2022.09.21 |
행동치료 개요 및 발전과정 (0) | 2022.09.19 |
아들러 심리학-치료이론 4 (0) | 2022.09.16 |
댓글